Contents
- Skinification 이 무슨 뜻이야?🤔
- 커져가는 헤어케어 시장을 이끄는 Skinification
- Skinification 헤어케어의 세분화 & 맞춤화
- Skinification 트렌드 속 ‘핫🔥’한 성분은?
- 완벽한 Skinification을 위한 더마랩의 원료 제안
- 2022년 하반기 더마랩 신제품
- 간단하게 살펴보는 2022년 9-10월 업계 동향
|
|
|
✋바쁘니까 간단하게 살펴보는 매거진 Summary🙂
- ’헤어케어의 스킨케어화'라는 뜻의 Skinification, 피부에 좋은 원료=두피에 좋은 원료
- Skinification의 세분화, 맞춤화를 통한 헤어케어 트렌드의 진화
- 완벽한 Skinification을 위한 더마랩의 원료 제안👉🏼 #두피&모발 건강 #모발성장 #모발미용
- 2022년 하반기 더마랩 신제품 5 종👉🏼#엑소좀 #홍조케어 #여드름케어 #주름 &보습케어
- 2022년 9-10월 업계 동향👉🏼 #중국수출감소 #유럽규정개정 #에이징케어대세 #젤로스킨 #동물대체시험법가이드라인추가 등
|
|
|
1. Skinification이 무슨 뜻이야?🤔
요즘 헤어케어💈 시장이 어느 때보다 핫하다. 그러면서 못 보던 단어 ‘스키니피케이션 (Skinification)’이 등장하였다. 스키니 뭐라구?
Skinification 트렌드 속 단어의 뜻을 살펴보면, ‘헤어케어의 스킨케어화’라는 뜻으로, 스킨케어 뿐만 아니라 헤어/두피케어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등장한 트렌디한 단어이다.
전통적인 헤어케어는 손상된 모발을 ‘복구’하는 것에만 집중하였다면, 스마트컨슈머들이 건강한 모발의 시작은 결국 ‘건강한 두피’에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헤어케어를 넓고 세분화된 카테고리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
'피부에 좋은 원료 = 두피에 좋은 원료'
그럼 언제부터 이 단어가 많이 등장했는지?
인터넷 검색 엔진을 통하여 확인한 Skinification의 트렌드!
- 한국: 네이버 데이터 랩을 통해 검색어로 확인한 결과, 2022년 3월 이후부터 현재까지 높은 검색량을 확인
- 해외: 구글 트렌드를 통해 검색어로 확인한 결과, 주로 유럽 지역에서, 주제는 모발, 모발관리로 2022년 이전에도 많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이버 데이터 랩-Skinification 검색어, 2020.01-2022.10월 |
|
|
구글 트렌드-Skinification 검색어 및 검색 지역, 2020.01-2022.10월 |
|
|
2. 커져가는 헤어케어 시장을 이끄는 Skinification
한국
- 국내 헤어케어 시장 규모: 연간 1조 1,000억원 규모로 2019년도를 기준으로 연평균 7%의 성장률, 2021년에는 1조 3000억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 코로나19로 인한 셀프 헤어케어의 보편화, 젊은 탈모인의 증가와 헤어케어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변화로 두피도 피부처럼 관리하는 Skinification 트렌드가 확산 및 성장세
중국
- 민텔의 2020년 조사에 의하면, 중국 도시 지역 소비자 90%가 헤어케어가 스킨케어만큼 중요하다고 인식
- 효능과 성능에 초점을 맞춘 프리미엄 헤어케어 제품 선호, 특히 탈모방지 기능성 제품이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
캐나다
- 코스메틱 브랜드 디오디너리는 기존 스킨케어 제품에 적용했던 제형과 성분을 헤어케어 제품에서도 구현
미국
- Z세대는 피부의 내츄럴 광채뿐만 아니라, 머릿결을 윤기있고 빛나게✨ 해주는 성분이 함유된 헤어케어 제품 주목
프랑스
- 계면활성제가 첨가되지 않은 순한 포뮬라와 진정 효과를 주는 성분이 포함된 스킨케어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헤어케어 제품도 두피진정, 보호, 영양 공급 기능이 있는 성분이 덩달아 인기
중동
- 강한 햇빛과 높은 온도로 인해 에어컨 사용으로 실내외 온도차가 큰 환경적 요인과 히잡, 쿠피야를 착용하는 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탈모, 비듬 고민이 많음.
- 2017년 기준 UAE 전체 헤어케어 시장 규모는 3억 880만 달러로 2022년 3억 4452만 달러로 전망되며, 사우디의 경우 샴푸 시장 전체 규모가 2020년 기준 3억 59만 달러.
동남아시아
- Statista 에 따르면 2020년 베트남 헤어케어 시장 규모는 2억 달러로, 2025년까지 2억 2,94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특히 염색약이 29%를 차지.
- 인도네시아도 중동 지역과 마찬가지로 햇빛이 강한 기후적 특성과 이슬람 문화 특성으로 향후 5년간 연 평균 3.93% 성장할 것으로 전망. 2019년 10조 루피아 규모(약 6억 달러)를 기록.
📄참고 자료
- 코스인코리아, MZ세대 기능성 헤어케어’주목’화장품업계’블루오션’부상
- 글로벌코스메틱포커스_2022_미국프랑스
- 글로벌코스메틱포커스_2022_중국일본
- UAE 헤어케어 시장 동향_KOTRA_2019
- 사우디 샴푸 시장동향_KOTRA_2021
- 베트남 염색약 시장 동향_KOTRA_2021
- 인도네시아 샴푸 시장 동향_KOTRA_2020
|
|
|
3. Skinification : 헤어케어의 세분화&맞춤화
무려 7 단계의 스킨케어가 있던 시절… 헤어케어는 그다지 많은 단계가 있지 않았다. 하지만, 이제는 다양해진 헤어케어 카테고리를 세포라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
|
|
헤어케어 제품의 다양한 마케팅 키워드💬
1. 두피 관련: #두피쿨링 #민감한두피진정 #두피활력 #데일리두피정화보호 #두피장벽 #수분장벽 #두피케어&강화 #비듬각질케어&정화 #비듬개선가려움&트러블케어 #유분감소 #피지케어
2. 모발 관련: #탈모&손상모케어 #탈모완화 #염색후관리 #열손상케어 |
|
|
새로운 헤어케어의 루틴을 제공하다, 헤어클렌저🧴
폼클렌저도 아니고, 헤어클렌저라고?
두피와 모발을 세정하는 기능에서 샴푸와 유사하나, 샴푸와 달리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지 않아 두피의 유분을 보호하면서 외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클렌저로 건성 혹은 약하거나 손상된 두피를 대상으로 사용하는 제품을 말한다.
자주 사용할 경우 두피에 부담이 될 수 있는 샴푸에 비해 덜 부담스럽기 때문에 비교적 자주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럴 때 샴푸 대신 헤어클렌저가 필요해!
-
저녁에는 딥클렌징 후 아침에는 물 세안하듯이!
⇒ 저녁에는 낮동안 두피/모발에 쌓인 각 종 오염을 꼼꼼히 샴푸로 세정 후, 아침🌞에는 헤어클렌저로 가볍게 세정하는 새로운 헤어케어 루틴 제시
-
건성이거나 혹은 약한 두피로 인해 매일 🚿샴푸하기 부담스러운 이들이여!
⇒ 평소엔 헤어클렌저로 관리, 가끔 샴푸를 이용하여 두피/모발 관리
-
땀 💦 으로 인해 하루에도 여러 번 샴푸를 하거나, 운동 전 샤워가 필수라면?
⇒ 헤어클렌저로 1차 세정 후, 운동 후 샴푸로 2차 딥클렌징 가능
|
|
|
미국의 헤어클렌저 브랜드, Hairstory
- Detergent & Sulfate-free 의 헤어클렌저로 샴푸 대신 사용하여 두피의 자연스러운 균형을 유지해주는 헤어클렌저로 강조
- 제품은 헤어 타입에 따라 건조한 두피용, 기본, 기름진 두피용으로 세 가지
- 지속가능한 기업 추구, 독성 없는 성분과 리필 가능한 용기 및 기부 활동을 하는 기업
|
|
|
헤어케어의 맞춤화
스킨케어 제품은 이미 오래 전부터 여성용과 남성용이 구분되어 출시되고 있었지만, 헤어케어 제품은 건성, 지성, 탈모용 등으로만 나뉠 뿐, 여성과 남성 전용 브랜드가 많지 않았다. 하지만, 여성과 남성의 피부 타입이 다르듯, 두피 고민 또한 다르기에 이런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브랜드들이 새로이 등장하고 있다.
|
|
|
여성전용 프리미엄 헤어케어 브랜드, 루톤(Rooton)
- 남성의 두피보다 얇고, 민감한 여성의 두피를 위한 세심하고도 정밀한 케어를 해주는 프리미엄 헤어케어 브랜드
- 여성 두피케어만을 위해 독자적으로 성분 개발
|
시세이도프로페셔널의 남성 전용 라인, 더그루밍
피부와 마찬가지로 과도한 피지가 분비되는 남성용 두피를 위한 라인으로 불필요한 피지를 제거해주고, 두피와 모발의 근본적인 원인을 지속적으로 케어하는 동시에 즉각적인 볼륨을 형성해주는 남성 헤어케어 라인 |
|
|
미국의 헤어케어 브랜드 ACT+ACRE
두피/헤어타입, 고민에 따라 맞춤화
- ACT+ACRE는 Skincare for your scalp 를 내세우며 두피를 케어하는데 집중하는 브랜드
- 두피와 헤어 타입별로 제품 소개, 소비자의 선택에 도움 제공
|
|
|
4. Skinification 트렌드 속 ‘핫🔥’한 성분은?
얼굴 피부에 비해 크게 신경쓰지 않았던 두피지만, 일상 생활 속에서 두피 때문에 불편함을 경험한 사람들이 주위에 한 둘씩 있을 것이다.
두피는 특이한 유형의 피부로서, 모발과 함께 많은 피지선과 땀샘의 분포가 되어있다. 실제로 두피는 이마보다 각질층의 기능이 저조하기 때문에 더 쉽게 피부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다른 피부 부위에 비해 민감도는 낮지만 가려움증이 많이 발생하고, 나아가 비듬, 취 등 다양한 피부 문제로 쉽게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또한, 아직 연구 결과가 미비하여 정확하게 그렇다라고 할 수는 없지만, '두피의 노화 속도가 얼굴 피부보다 6배나 빠르다는 속설?'이 있다. 그래서 대세는 두피에 순한 성분, 건강한 두피를 위한 효과 있는 성분이라고. 3가지 카테고리로 제품 속 성분을 확인해 보자.
1. 지성인 내 두피에 필요한 피지 케어
2. 민감해진 두피를 위한 진정, 수분 케어💦
- 판테놀
- 세라마이드
- 알로에베라
- 히아루론산
- Allantoin
|
|
|
5. 완벽한 Skinification을 위한 더마랩의 원료 제안 |
|
|
6. 2022년 하반기 더마랩 신제품 소개 👏🏼 |
|
|
7. 간단하게 살펴보는 2022년 9-10월 업계 동향
9월 업계 동향
- 화장품 중국 수출, 11년 만에 감소세 전환, 中 ’22-’23 소비자 동향 분석...성분·효능 중심 합리적 소비 예측
- 국내 여성 소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초 화장품의 기준 순서: ‘제품의 원료/성분’, ‘합리적인 가격’, ‘제품의 즉각적인 효능’
- [유럽, TBT통보문] Annex III(배합한도) 개정안 (알레르기 유발 착향제 성분 추가), [유럽, EC Regulation 1223/2009] Annex II(배합금지), III(배합한도), V(보존제) 개정 (메틸살리실레이트 등 CMR 물질)_2022년 12월 17일 발효
- 글로벌 소비자 관심 1위 ‘에이징 케어’
10월 업계 동향
- 중국 뷰티 시장, 인체실험 마케팅 점화
- 페이셜케어 시장, 꾸준한 성장 중. 한국과 중국, 인도가 아태지역 페이셜 케어 시장의 성장을 이끌어가게 될 것
- 새로운 K뷰티 트렌드 '젤로 스킨(Jello Skin)’
- 화장품 동물대체시험법 가이드 라인 추가
📄참고 자료 & 사이트
- 대한화장품협회-화장품 시장정보 (코스메틱리포트-329호~336호
|
|
|
저희가 준비한 2022년 더마랩 매거진 4호의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얼마 남지 않은 2022년을 어떻게 보내고 계신가요?
저희는 올 해 새로운 포맷과 보시기 편하게 좀 더 친근한 느낌으로(?) 매거진을 꾸며보았는데요,
보내드린 매거진의 내용이 여러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알찬 내용이었다면 참 보람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쉽게도, 이번 호가 올 해의 마지막 매거진이 되었네요…
새롭고, 트렌디한 소식으로 2023년에 또 인사 드리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
|
|
(주)더마랩 (Dermalab Co., Ltd) 본사: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문막공단길 231
Tel: 031-429-8455~6
|
|
|
|
|